안압은 눈 속의 압력을 말합니다. 안압이 너무 낮으면 안구가 위축되어 작아지고, 너무 높으면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적절한 안압을 통해 안구가 공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리고 눈 속 조직이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게 됩니다. 보통 안압이 낮은 것보다 높아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안압을 높이는 방법보다는 낮추는 방법을 알아두면 생활에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눈이 다릅니다]정상 안압 기준도 모두 다릅니다.보통 안전하고 적정한 안압으로 여겨지는 수준은 10~21mmHg(압력단위; 수은주 밀리미터)이지만, 이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서 모두에게 안전한 수치는 아닙니다. 사람마다 시신경 상태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시신경이 원래 약한 분들은 이보다 훨씬 낮은 안압이 안전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른 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안압이 높으면?
안압이 높으면 가장 신경 써야 하는 게 시신경입니다. 시신경은 망막에 생긴 상을 뇌로 전달하는 매우 중요한 조직입니다. 안압이 상승하면 시신경이 압박을 받아 손상되고, 이는 시야가 좁아지는 녹내장을 유발합니다. 그러나 사람마다 높은 안압의 기준은 다릅니다. 누군가에게는 23mmHg도 시신경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수치일 수 있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15mmHg도 녹내장을 유발하는 위험한 수치일 수 있습니다.

보통 안압이 높으면 시신경이 손상돼서 녹내장에 걸린다고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안압이 정상인데 녹내장인 경우가 훨씬 많아요. 그래서 안압 수치가 안전한 범위에 있다고 크게 안심하지 말고 평소 정밀 검사를 통해서 시신경, 망막 상태가 어떤지 보고 본인에게 안전한 안압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40세 이상이거나 고도 근시·가족력·전신질환이 있는 분들은 매년 정밀검사가 필수입니다. 안압을 낮추는 방법
안압이 정상 범위에 있더라도 시신경이 약하다면 그에 맞게 수치를 낮춰야 합니다. 실생활에서 안압을 높이는 요소는 대개 얼굴에 힘이 들어가는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넥타이를 세게 맬 때/무거운 물건을 들 때/장시간 허리를 숙이는 자세를 취할 때/낮은 베개 사용시/음주, 흡연할 때 등이 있습니다. 특히 운동영역에서는 요가를 할 때/근력운동을 할 때/복근을 할 때 안압이 올라가기 쉬우므로 녹내장 고위험군에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운동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압을 낮추는 방법으로는 위의 활동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운동을 완전히 멈추면 몸 건강에 안 좋겠죠?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정도의 유산소 운동은 혈류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시신경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녹내장인 분들에게도 자전거나 수영, 산책 같은 유산소 운동은 추천하고 있습니다.
녹내장은 노인에게만 찾아오는 질환이 아닙니다

고도 근시라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신경 손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매년 검사가 필수이고요.가족력이 있으면 안압이 높지 않아도 시신경 자체가 약할 수 있으므로 연령에 관계없이 검진이 필요합니다.
※ 이런 정보는 어떤가요? ※▼ 안압과 방수 ▼

안압 상승은 여기에 달려 있다! 방수란?안압은눈속의압력을의미합니다. 우리의 눈이 둥근 구형을 유지하는 것은 안압이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는 것… blog.naver.com
안압 상승은 여기에 달려 있다! 방수란?안압은눈속의압력을의미합니다. 우리의 눈이 둥근 구형을 유지하는 것은 안압이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는 것… blog.naver.com

안압 상승은 여기에 달려 있다! 방수란?안압은눈속의압력을의미합니다. 우리의 눈이 둥근 구형을 유지하는 것은 안압이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는 것… blog.naver.com